카프카 문학의 정수가 담긴 첫 장편소설
『소송』과 『성』과 함께 ‘고독’ 삼부작으로 알려진 『실종자』는 카프카의 첫 장편소설로, 다른 두 작품과 마찬가지로 미완성으로 남아 있지만, 그의 문학적 정수를 잘 보여줍니다. 카프카의 친구이자 그의 유고를 편집한 막스 브로트는 1927년부터 이 작품을 ‘아메리카’라는 제목으로 출판하였으나, 1983년에는 카프카의 육필 원고를 바탕으로 한 비평판이 발간되면서 원제인 ‘실종자’로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이 소설의 첫 장인 「화부」는 카프카 생전인 1913년에 단행본으로 발표되어 큰 성공을 거두었으며, 1915년에는 폰타네상을 수상하기도 했습니다.
카프카는 1911년 말, 초고 200매를 폐기하고 본격적으로 이 소설의 집필에 착수한 것은 1912년 가을부터 1914년 가을까지였습니다. 이 시기에 그는 첫 단편인 「선고」와 대표작 중 하나인 「변신」을 썼으며, 소설의 막바지에는 『소송』의 집필도 병행했습니다. 카프카는 이 책의 1장 「화부」와 「선고」, 「변신」을 함께 묶어 ‘아들들Die Söhne’이라는 제목으로 출판하자는 제안을 출판인 쿠르트 볼프에게 하기도 했습니다. 이러한 세 작품은 모두 아버지 권력과 갈등하는 아들의 서사 및 관계로부터의 고립이라는 카프카 문학의 핵심 테마를 공유하고 있으며, 첫 장편 『실종자』에서도 그 문학 세계의 뿌리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주인공 청년은 아메리카 여정 내내 “거의 모든 곳에서 그의 존재가 실패한다”는 현실과 맞닥뜨리며, “희망은 금지되는 것이 아니라 금지되지 않기에, 희망에 가장 처절하게 고통을 가하는 작품”이라는 평가를 받을 수 있습니다.
아메리카 사회에서 표류하는 ‘현대의 시시포스’
이 소설에서 주목할 점은 카프카의 작품 중에서도 매우 정교한 서사 구조를 보여준다는 것입니다. 총 8장으로 구성된 이 소설은 제목이 붙은 6장과 제목이 없는 2장, 그리고 미완성 장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첫 장면은 뉴욕으로 입항하는 배에서 주인공의 시선이 ‘칼을 든 자유의 여신상’에 닿는 장면으로 시작되는데, 이는 자유와 정의, 희망과 꿈의 신세계로 진입하고 정착하기 위한 여정을 암시합니다. 과연 카를은 이곳에서 새로운 출발을 하고 성장할 수 있을까요?
17세의 카를 로스만은 고향 프라하에서 하녀를 임신시킨 문제로 부모에게 미국으로 보내지게 되며, 뉴욕에 도착한 그는 불확실한 아메리카 여정을 시작합니다. 그는 기계화된 문명과 테일러주의가 만연한 미국 사회에서 상류층부터 자본주의의 밑바닥에 이르는 다양한 계층을 경험하게 됩니다. 처음 배에서 만난 해고 위기의 화부를 돕는 정의감 넘치는 청년에서, 외삼촌의 회사에서 고위직으로 성공한 경영 후계자로 성장하지만, 한 번의 실수로 외삼촌의 눈 밖에 나게 됩니다. 이후 그는 겨우 엘리베이터 보이로 일하게 되고, 결국 성매매로 자본을 축적한 가수 브루넬다의 하인이 되며, 마지막에는 ‘사라지는 자’로 전락하게 됩니다. 카프카는 이러한 과정 속에서 카를의 존재가 점점 희박해지는 모습을 통해 서사적 긴장과 멜랑콜리를 더욱 깊이 있게 표현합니다.
주요 서사 공간인 선실, 별장, 호텔, 극장 채용시험장(경마장)에서 이루어지는 카프카 특유의 ‘심문’ 장면들은 아메리카 사회로의 진입과 정착, 그리고 관계와 소속에 대한 카를의 욕망이 철저히 실패로 돌아가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이 작품은 유럽의 고향에서 아메리카의 이방 세계로의 추방과 다양한 계급을 대표하는 인물들과의 만남을 통해 끊임없는 희망 없는 추락을 그립니다. 마지막 장면은 극장의 채용시험장에서 오클라하마행 기차로 넘어가면서 열린 공간으로의 전환을 보여주며, 현대인의 불가해한 삶에 대한 확장된 우화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해석의 여러 단서를 제공하는 해제와 원전에 충실한 번역
2024년 6월 3일은 카프카 타계 100주년이 되는 날입니다. 카프카는 제1차 세계대전 발발 직전에 서구 문명의 몰락과 인간 정신의 붕괴를 목도하며 이 작품을 집필하였습니다. 다양한 인종과 국적이 혼재하는 현대 도시에서 개인은 “외부로부터 내면으로, 위로부터 아래로” 겹겹이 위계화된 권력과 자본시장에 종속되어 기계 부품처럼 소외된 삶을 살아갈 수밖에 없는 실존을 다루고 있습니다. 이민자이자 표류자로서 젊은 카를이 관계로부터 밀쳐져 점차 소속의 고리를 잃고 실종자로 전락하는 과정을 통해, 불가해하고 부당한 폭력과 마주하면서 어떻게 희망 없는 사지로 사라져가는지를 정치적으로 묘사합니다.
이 책을 번역한 이재황 번역가는 새롭게 정립된 비평판을 기준으로 카프카의 첫 장편소설의 원형을 충실히 번역하였으며, 다양한 해석의 여지를 제공하는 해설도 덧붙였습니다. 브로트 판과 달리 카프카가 오클라호마를 ‘오클라하마’로 표기한 점, 주인공 카를 로스만의 이름이 가지는 상징성 등을 통해 이 작품을 새롭게 조명합니다. 번역가는 카프카 문학의 핵심을 ‘부정성의 미학’으로 설명하며, 이 작품이 “인간의 이성과 합리성에 대한 믿음을 바탕으로 한 근대 서구 문명의 진보적 역사관과 20세기의 최대 효율성을 추구하는 패러다임에 강력한 문제 제기를 하고 있다”고 강조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