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류드밀라 울리츠카야 - 메데야와 그녀의 아이들 메데야의 삶으로 본 20세기 러시아 역사

by 사서J 2024. 7. 21.
반응형

류드밀라 울리츠카야가 재창조한 새로운 신화

다음 세대를 지켜낼 지혜롭고 강인한 메데야의 일대기

현대 러시아문학을 대표하는 작가이자 노벨문학상 유력 후보인 류드밀라 울리츠카야의 첫 장편소설입니다. "눈이 견딜 수 없을 정도로" 아름다운 크림반도의 풍경 속에서 메데야라는 여성을 중심으로 한 가문의 일대기가 펼쳐집니다. '메데야'는 그리스 신화 속 여인 '메데이아'의 러시아식 이름으로, 울리츠카야는 이 소설에서 자기만의 방식으로 기존의 메데이아 신화를 전복시켜 새로운 메데이아를 창조해냅니다. 1900년에 태어나 격동의 세월을 살아낸 주인공 메데야의 삶을 통해 20세기 러시아 역사를 오롯이 담아냈습니다. 

 

 

 

시대와 운명을 끌어안고 다음 세대를 지키는 강인한 메데야

현대 러시아문학을 대표하는 작가 류드밀라 울리츠카야는 자국의 문학상은 물론 메디치상(프랑스), 주세페 아체르비 상(이탈리아), 세계문학상(중국), 박경리문학상(한국), 유럽문학상(오스트리아), 지크프리트 렌츠 상과 귄터 그라스 상(독일) 등 여러 상을 수상하며 노벨문학상 유력 후보로 꼽힙니다. 1992년 중편소설 「소네치카」로 주목받은 울리츠카야는 1996년 발표한 첫 장편소설이 바로 『메데야와 그녀의 아이들』입니다. '메데야'는 그리스신화에서 가장 악명 높은 여인으로 알려진 '메데이아'의 러시아식 이름입니다.

러시아 고전문학의 사실주의 전통 위에 역사, 신화, 성서 등 다양한 상호텍스트성을 지닌 문학세계를 구축한 울리츠카야는 이 작품에서 자기만의 방식으로 기존 메데이아 신화를 파괴하고 새로운 신화이자 안티-메데이아를 창조합니다.

사랑하는 남자를 위해 가족과 조국을 배신했지만 결국 그 남자에게 배신당해 자식까지 잃게 되는 메데이아의 이야기는 여러 시대에 걸쳐 다양한 작품에서 다루어져 왔습니다. 소설 속 메데야는 그리스 여인 같은 외모와 지혜로운 태도, 민간요법으로 병을 치료하는 능력 등 여러 면에서 신화 속 메데이아를 연상시킵니다. 그러나 메데야는 직접 낳은 자식이 없고, 대신 수많은 형제자매와 친척들을 돌보며 다음 세대를 지키는 역할을 합니다.

운명과 화해하지 못하고 파괴적인 행동으로 맞선 메데이아와 달리, 메데야는 자신의 운명에 순응하며 운명에 상처 입은 다른 사람들까지도 가족의 울타리 안에 품습니다.

메데야가 지키고 돌보는 가족은 혈연으로만 이루어진 공동체가 아닙니다. 메데야의 가문은 입양의 전통이 있으며, 이전 결혼에서 얻은 자식이나 혼외 자식도 동등한 구성원으로 인정받습니다. 자유분방한 연애를 즐기는 메데야의 동생 알렉산드라, 이모-조카 사이지만 자매처럼 자란 니카와 마샤 등 매력적인 여성 인물들은 각자의 방법으로 가족의 외연을 넓히는 데 기여합니다. 이로 인해 이 가족은 다양한 민족, 문화, 종교가 자연스럽게 공존하는 공동체를 이룹니다.

크림반도의 풍경 속에서 펼쳐지는 아름답고 슬픈 일대기

크림반도는 이 작품의 배경이자 울리츠카야가 작품을 집필한 장소입니다. 가족이 피란을 갔던 바시키르 자치공화국에서 태어나 어린 시절을 모스크바에서 보낸 울리츠카야는 "만약 태어난 장소를 고를 수 있다면 고민 없이 남쪽을 고를 것"이라고 말할 정도로 크림반도에 대한 애정이 깊습니다.

『메데야와 그녀의 아이들』은 모스크바도 상트페테르부르크도 아닌 크림지방, 특히 러시아의 겨울이 아닌 여름의 바닷가를 배경으로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현대 러시아 소설에 기대할 수 있는 모든 것이 담겨" 있는 이 소설은 1900년에 태어나 혁명, 내전, 농촌 집단화, 대숙청, 전쟁, 강제 이주, 해빙 등 격동의 세월을 보낸 메데야와 가족 구성원들의 삶을 통해 20세기 러시아 역사를 충실히 담고 있습니다.

가족 안에서 벌어지는 사랑과 우정, 갈등과 비극은 "눈이 견딜 수 없을 정도로" 아름다운 크림반도의 풍경과 함께, 슬픔이 서려 있는 러시아 역사와 얽혀들어 하나의 서사로 완성됩니다. 울리츠카야는 "이 소설은 옛 세대에 바치는 책이자, 어떤 의미에서 가족을 애도하는 나의 통곡이다"라고 말했습니다. 현재 크림반도가 무력으로 합병되고 가족적 가치가 상실되어 가는 상황에서 울리츠카야의 통곡은 더욱 뼈저리게 느껴집니다.

 

류드밀라 울리츠카야

반응형

 

반응형

댓글